목록Movie Production (12)
Priv's Blog
1. 포스트 프로덕션 사운드 작업 후반 사운드 작업은 영상 작업의 마지막 창조 과정이다. 동영상은 시각과 청각이 동시에 작용하는 지점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영상만 편집되어 있을 때와 사운드가 포함되어 있을 때를 비교해보면 감각 기관이 받아들이는 정보의 양이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영상의 마지막 최종 편집은 사운드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가능하다. 사운드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사: 현장 녹음 대사, 대사 트랙, ADR 효과: 효과음, 폴리 사운드, 룸 톤, 엠비언스 사운드 음악: 소스 음악, 스코어 의도적인 침묵: 대사, 효과, 음악이 사용되어야 할 지점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 2. 어쿠스마틱 사운드 어쿠스마틱이란 BC6~5세기경 그리스 철학자인 피타고라스가 고안한 개념이다. 피타고라스는..
1. 포스트 프로덕션 (후반 작업)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는 프로덕션 과정이 끝난 후, 촬영되고 녹음된 원본 소스들을 영화적으로 가공하여 완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편집, 사운드 제작, 음악 제작, 믹싱, 색 보정, VFX, 합성, 종합 편집 과정을 통해 최종 영상을 제작한다. 편집, 색보정 등을 통해서 연출의 의도가 변경될 수도 있는 만큼 포스트 프로덕션은 제2의 연출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영화 편집의 역사 영화가 탄생할 시점의 편집은 시퀀스 쇼트, 즉, 하나의 공간(씬)에서 1개의 쇼트로만 촬영되었기 때문에 편집의 개념이 사실상 없다시피 했다. 그저 필름을 잘라서 이어 붙이는 수준에 그쳤던 시절이었다. 진정한 의미의 영화 편집은 작품이 등장하면서부터였다. 이 시기부터 연속 편집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
1. 카메라 앵글 (Camera Angle) 카메라 앵글이란 피사체를 촬영할 때 그 대상을 바라보는 각도나 위치를 의미한다. 피사체를 향한 카메라의 위치를 나타낼 때는 High, Low, Over Head 등으로 구분한다. 카메라의 높이를 나타낼 때는 Level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Eye Level, Shoulder Level, Cow-Boy Level 등으로 구분한다. 카메라의 앵글에 따라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달라지기도 하며, 인물들의 관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서 '스카'와 '하이에나'의 관계를 표현할 때는 High Angle, Low Angle을 번갈아 가며 사용한다. 이는 스카가 상대적으로 하이에나들보다 더 높은 지위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는 연출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1. 프로덕션 프리 프로덕션 과정이 끝나면 진행되는 다음 단계이다. 감독이 중심이 되며, 시나리오의 순서가 아니라 씬을 단위로 촬영에 나선다. 프로덕션 현장의 배우의 대사, 현장음, 기타 현장 정보 등을 포함하여 동시 녹음을 진행한다. 과거에는 불가능했지만, 현대에 들어서면서 촬영 현장에서 즉석으로 편집까지 진행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감독과 프로듀서가 함께 진행하는 단계였고, 촬영 계획과 예산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감독보다는 프로듀서의 입김이 더 강했다. 하지만 프로덕션 단계에 들어서게 되면 실질적으로 촬영에 들어서기 때문에 프로듀서보다는 감독의 입김이 더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할리우드 시스템의 시대에 탄생한..
1. BDS (Break Down Sheet) BDS는 영화(필름)제작의 과정에서 본 촬영(프로덕션)을 들어가기 직전에 다양한 아트디렉터가 모여 시나리오와 콘티 등을 분석하고, 현장 촬영 일정을 확립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를 말한다. 일종의 분석 용지로, 시나리오 또는 콘티를 분석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BDS 작업에는 감독, 프로듀서, 조연출 등이 참여한다. BDS 작업 단계는 프로덕션을 위한 준비(일정, 예산 확인 등)를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씬 안에 필요한 소품은 무엇이고, 어떤 의상이 필요한지, 촬영 장소는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 등을 BDS를 통해 결정하기 때문이다. BDS가 존재해야 작품의 대략적인 제작 비용, 배우, 소품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촬영 당일 각 팀의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1. 쇼트 역할에 따른 요소 연구 설정 쇼트(Establishing Shot): 한 씬이나 시퀀스의 도입부에서 사건이 벌어지는 공간에 대한 기본적 인식을 제공해주는 쇼트. 롱 쇼트(Long Shot) 혹은 익스트림 롱 쇼트(Extreme Long Shot)를 사용하여 공간을 포착, 사건이 벌어지게 될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 전개될 사건에 대한 극적 분위기를 미리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설정 쇼트가 없으면 관객들은 공간에 대한 인식을 잃거나 그것을 파악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사건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재설정 쇼트(Reestablishing Shot): 한 번 설정한 공간 장면을 반복해서 보여주어 그 인식을 다시 떠올리게 만들어주는 쇼트를 의미한다. 마스터 쇼트(M..
1. 스토리와 플롯의 구분 문학과 서사의 측면에서 스토리와 플롯을 구분해보자. 스토리는 일어난 사건을 시간 순서대로 기술한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플롯은 일어난 사건을 인과관계, 극적 효과를 위하여 새롭게 구성한 순서대로 기술한 것을 의미한다. 예시로 본다면 다음과 같다. 스토리: 왕이 죽었다. 왕이 죽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왕비가 죽었다. 플롯: 매일 슬픈 얼굴로 살아가던 왕비가 결국 죽었다. 왕비는 얼마 전에 죽은 왕의 죽음에 괴로워했다. 즉, 플롯은 이야기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시간과 문체, 감정, 인물의 상황을 통제하고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다. 영화에서 플롯은 화면에 보이는 모든 것과 들리는 모든 것(소리)을 의미한다. 이는 서사와 달리 영화는 시청각적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1. 씬과 시나리오 (Scene and Scenario) 1.1) 씬 (Scene) 씬은 장면, 시나리오는 촬영을 위한 노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영화에서 씬은 하나의 행위가 한 장소에서 특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머무르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씬은 장소를 기반으로 하며, 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학교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일들을 다룬다면, 장소를 기반으로 교실 씬, 복도 씬, 화장실 씬, 옥상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 시간을 기준으로 씬들을 구분해본다면, (복도 씬-현재), (교실 씬-과거)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씬은 시공간을 다루기 때문에 '크로노토프'를 표현할 수 있다. 크로노토프는 시공간의 합성어로, 특정한 공간과 시간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