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82)
Priv's 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J7ahj/btrQ0l7Vr9j/R4wdhjKgLChCq20CTjOnKk/img.png)
1. 프로덕션 프리 프로덕션 과정이 끝나면 진행되는 다음 단계이다. 감독이 중심이 되며, 시나리오의 순서가 아니라 씬을 단위로 촬영에 나선다. 프로덕션 현장의 배우의 대사, 현장음, 기타 현장 정보 등을 포함하여 동시 녹음을 진행한다. 과거에는 불가능했지만, 현대에 들어서면서 촬영 현장에서 즉석으로 편집까지 진행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감독과 프로듀서가 함께 진행하는 단계였고, 촬영 계획과 예산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감독보다는 프로듀서의 입김이 더 강했다. 하지만 프로덕션 단계에 들어서게 되면 실질적으로 촬영에 들어서기 때문에 프로듀서보다는 감독의 입김이 더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할리우드 시스템의 시대에 탄생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S71f/btrQTQmp22O/DPMNxO1JjqaXK2by1y9CU0/img.png)
1. BDS (Break Down Sheet) BDS는 영화(필름)제작의 과정에서 본 촬영(프로덕션)을 들어가기 직전에 다양한 아트디렉터가 모여 시나리오와 콘티 등을 분석하고, 현장 촬영 일정을 확립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를 말한다. 일종의 분석 용지로, 시나리오 또는 콘티를 분석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BDS 작업에는 감독, 프로듀서, 조연출 등이 참여한다. BDS 작업 단계는 프로덕션을 위한 준비(일정, 예산 확인 등)를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씬 안에 필요한 소품은 무엇이고, 어떤 의상이 필요한지, 촬영 장소는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 등을 BDS를 통해 결정하기 때문이다. BDS가 존재해야 작품의 대략적인 제작 비용, 배우, 소품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촬영 당일 각 팀의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CSxM/btrQOl0R7hS/nC8fdNPl4Uk6CGxYt0XDWK/img.jpg)
1. IEnumerator 메서드는 실행할 때마다 참조값이 바뀐다. public void StartWeaponAction(int type = 0) { if (type == 0) { // 좌측 마우스 버튼 클릭; 사격 if (this.weaponSetting.isAuto == true) { StartCoroutine(OnAttackLoop()); } else { OnAttack(); } } } public void StopWeaponAction(int type = 0) { if (type == 0) { StopCoroutine(OnAttackLoop()); } } private void OnAttack() { if (Time.time - this.lastAttackTime > this.weaponSett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2N78/btrPCEunPqK/duqZVxEboGXS7kW4ci5I7k/img.png)
1. 쇼트 역할에 따른 요소 연구 설정 쇼트(Establishing Shot): 한 씬이나 시퀀스의 도입부에서 사건이 벌어지는 공간에 대한 기본적 인식을 제공해주는 쇼트. 롱 쇼트(Long Shot) 혹은 익스트림 롱 쇼트(Extreme Long Shot)를 사용하여 공간을 포착, 사건이 벌어지게 될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 전개될 사건에 대한 극적 분위기를 미리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설정 쇼트가 없으면 관객들은 공간에 대한 인식을 잃거나 그것을 파악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사건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재설정 쇼트(Reestablishing Shot): 한 번 설정한 공간 장면을 반복해서 보여주어 그 인식을 다시 떠올리게 만들어주는 쇼트를 의미한다. 마스터 쇼트(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D71Z/btrOxROeGOj/6Ah5r81w7ku7hg9Sg4k7jk/img.png)
1. 스토리와 플롯의 구분 문학과 서사의 측면에서 스토리와 플롯을 구분해보자. 스토리는 일어난 사건을 시간 순서대로 기술한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플롯은 일어난 사건을 인과관계, 극적 효과를 위하여 새롭게 구성한 순서대로 기술한 것을 의미한다. 예시로 본다면 다음과 같다. 스토리: 왕이 죽었다. 왕이 죽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왕비가 죽었다. 플롯: 매일 슬픈 얼굴로 살아가던 왕비가 결국 죽었다. 왕비는 얼마 전에 죽은 왕의 죽음에 괴로워했다. 즉, 플롯은 이야기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시간과 문체, 감정, 인물의 상황을 통제하고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다. 영화에서 플롯은 화면에 보이는 모든 것과 들리는 모든 것(소리)을 의미한다. 이는 서사와 달리 영화는 시청각적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