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v's Blog

8. 게임 기획이란? 본문

Game Design

8. 게임 기획이란?

Priv 2022. 4. 12. 15:14


 

 

1. 게임 기획의 정의

게임 기획은 게임 개발의 시작부터 개발 완료, 사후 관리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협의의 의미로서는 게임의 코어 메카닉(Core Mechanics), 스토리텔링 & 내러티브(Storytelling & Narrative), 인터렉티비티(Interactivity)를 설계하는 게임 디자인(Game Design)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광의의 의미로서는 협의의 의미를 모두 포함하며,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와 게임 마케팅(Game Marketing)이 추가된다.

"어떤 게임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대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 및 정리, 최종적으로 문서화하는 작업은 게임 개발 프로젝트의 시작이자 핵심이 된다.

또한 게임이 출시된 이후에 진행될 이벤트나 시즌 업데이트처럼 새롭게 출시할 추가 콘텐츠들을 기획하는 것도 게임 기획의 일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게임 기획은 "어떤 게임을 만들 것인가?"와 함께 "어떻게 게임을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게임 디자인은 코어 메카닉(Core Mechanic)스토리텔링(Storytelling), 인터렉티비티(Interactivity)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 3가지 영역은 서로를 보완하며 게임을 구성하게 된다.

● 코어 메카닉(Core Mechanic)

게임 디자이너가 구상한 세계관을 불변의 규칙으로 옮기는 일이며, 게임 디자인의 과학적인 영역에 해당한다.

게임 속에 등장시킬 세계관의 설정, 게임의 기본 규칙 등은 한 번 결정되면 변경되어서는 안 되는 핵심(Core) 요소들이다.

게임을 개발하는 팀원들이 모두 이 부분을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서화/체계화해야 개발하고자 하는 게임이 어떤 게임인지가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다.

수학적인 계산과 컴퓨터의 작동 알고리즘 등을 정의하는 것으로, 게임이 작동하는 방식을 묘사하는 일이다.
(단, 이는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

●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모든 게임들은 저마다 고유의 스토리를 지니고 있다.

내러티브는 스토리의 일부이며, 스토리를 만든 작가나 디자이너에 의해 플레이어에게 전달된다.

다만 게임의 내러티브는 플레이어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소설, 영화 등과는 큰 차이를 지닌다.

플레이어가 게임이 보여주고자 하는 스토리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어가 주인공이 되어야 하며, 자신의 선택에 따른 보상과 납득 가능한 결과가 따라와야 한다.

스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게임이나, 플레이어 스스로 스토리의 주인공이 될 수 없다고 느끼게 만드는 게임들은 플레이어의 흥미를 이끌어내기가 힘들다.

내러티브는 배경상 인터랙티비티와 미묘한 긴장과 대립 구도를 가지는데, 내러티브는 '전달'의 개념에 가깝지만, 인터랙티비티는 '체험'의 개념에 가깝기 때문이다.

선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스토리텔링 방식과 비선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스토리텔링 방식이 존재한다.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과 같은 오픈 월드 게임들이 대체적으로 비선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스토리텔링 방식을 사용하며,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시리즈는 대표적인 선형적 구조의 스토리텔링 방식의 예시라고 할 수 있다.

● 인터렉티비티(Interactivity)

게임 월드 안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경험하고, 보고, 듣고, 행동하고, 학습하는 양식을 의미한다.

즉,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양식을 의미한다.

그래픽, 사운드, UI 등이 인터렉티비티에 해당된다.

플레이어가 게임 속 세상을 주인공으로써 직접 탐험하고 자신이 게임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느끼게 만들어주는 모든 요소들이 이에 포함된다.

UI와 컨트롤 시스템은 플레이어가 게임 속 세상을 탐험하게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들이다.

플레이어가 알아야 하는 정보들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UI), 어떻게 플레이어가 원하는 데로 자유롭게 탐험할 수 있게 만들 것인지(컨트롤 시스템)이 이 2가지 요소로 완성되기 때문이다.

 


 

2. 게임 기획의 특징

게임 기획은 일반적으로 다른 분야의 기획과는 조금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기획의 동기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게임 기획은 '제안형 기획'이다.

기획서를 통해서 자신이 어떤 게임을 만들고자 하는 지를 설명하고, 프로젝트 개발에 동참할 다른 팀원이나 투자자에게 자신의 기획을 '제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성상으로 게임 기획을 분류할 경우의 게임 기획은 '개발형 기획'이다.

말 그대로 '게임을 개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문서이기 때문에 개발하는 데 필요한 정보들(플레이어의 능력치, 아이템의 종류, 맵 디자인 등)을 게임 기획서에 담아야 한다.

프로그래머, 아티스트 등 다른 분야의 게임 개발자들은 게임 기획서를 통해 자신이 어떤 일을 해야 하는 지를 파악하고 자신의 결과물이 게임의 어떤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목적의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게임 기획은 '신제품 개발 기획'이다.

이는 새로운 게임을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게임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조사가 필수적이며, 시장의 트렌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기획을 진행해야 개발하고자 하는 게임의 경쟁력을 살릴 수 있다.

개최 빈도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부정기적인 계속 기획'의 특징을 지닌다.

게임 기획은 게임이 출시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부터 유행을 타기 시작한 '시즌 업데이트' 제도가 이러한 특징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예시라고 할 수 있다.

 


 

3. 게임 기획자의 역할

"게임 기획자라는 직업은 추상적인 존재이다."

게임 기획자가 맡아야 하는 역할들로는 크게 '제반 사항에 대한 결정', '매개자의 역할', '프로젝트의 리더 역할'로 나눠진다.

● 제반 사항에 대한 결정

만약 스토리가 있는 게임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게임 기획자는 게임 시나리오 작가의 섭외, 시나리오 매입, 자체 제작 여부 등에 대한 사항들을 결정해야 한다.

이처럼 게임 개발자는 개발 방향 설정, 개발 계획 설정, 판매 계획 결정, 개발 인력 섭외, 제작 스케줄 관리 등과 같이 제반 사항에 대한 결정을 맡는다.

"어떤 게임을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게임 기획자가 가지고 있는 만큼, 개발하고자 하는 게임에 필요한 요소들이 무엇인지, 게임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시간, 자본, 인력 등)이 필요한 지는 게임 기획자가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 매개자의 역할

각 팀별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돌다리' 역할을 수행하여 작업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관리해야 한다.

경연진과 개발진 사이의 중간자 역할도 함께 맡는다.

기획한 게임의 내용을 다양한 분야의 개발 팀원들에게 이해시키고, 모두가 '하나의 게임'을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항상 주의 깊게 팀원들을 관리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 될 수 있다.

● 프로젝트 리더 역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리더의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상황에 따라 팀장 역할을 프로그래머나 아티스트와 같이 다른 직책이 맡는 경우도 있지만, 기획자가 맡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는 어떤 게임을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나 핵심적인 사항들이 게임 기획자의 머릿속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즉, 프로젝트의 리더는 개발하고 있는 게임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게임 개발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게임 개발에 참여하는 팀원들을 이끌어야 하며, 계획한 방향으로 프로젝트가 완료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4. 게임 기획자의 요건

게임 기획자는 다른 게임 파트와 다르게 역할과 위치가 애매모호하기 때문에 상당히 까다로운 직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에서도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기 쉬우며, 이러한 시행착오들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게임 기획자는 다양한 분야의 팀원들을 관리하는 팀장 역할(프로젝트 관리)을 맡게 되므로, 다양한 분야에 대해 넓은 이해와 지식이 요구된다.

즉, 전문가 수준의 깊이는 없을 수 있어도, 전문가와 함께 소통하고 타협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그 사람의 전문성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획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문서화를 통해 사람들의 의견을 정리하고 게임 기획을 완성하므로, 작문 능력이 뛰어나야 한다.

자신이 개발하고자 하는 게임이 시장에서 주목을 받기 위해서는 당연히 창의적, 게이머 친화적이어야 하며, 트렌드를 잘 읽을 수 있는 통찰력도 필요하다.

기술적인 이해가 뒷받침되는 기획자라면,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팀원)에게 큰 신뢰를 얻을 수 있으므로 권장된다.

 


 

5. 게임 기획의 구성과 업무

게임 기획 업무의 구성은 기업의 규모나 국가에 따라서도 차이가 존재한다.

근래에 들어서면서 점차 스케일이 큰 프로젝트가 일반화되고 있으며, 게임 개발 업무도 전문화가 이루어지면서 점차 해외(북미) 개발사의 사례를 따르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게임 기획 파트의 구성은 크게 소프트웨어 기획(Software Planner), 리드 아키텍트(Read Architect), 게임 디자이너(Game Designer),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 시나리오 작가(Wirter), 프로듀서(Producer)로 나눠진다.

소프트웨어 기획(Software Planner)

소프트웨어 기획은 디자인된 게임의 내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적인 사항들이 필요한 지를 리스트로 나눈 뒤, 기능 구현에 필요한 시간, 노력, 자원 등을 계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 디자이너, 리드 아키텍트와 함께 자세한 사양서를 준비하고, 이를 프로젝트 진행에 따라 프로그램 구조도로 발전시키는 일을 한다.

리드 아키텍트(Read Architect)

리드 아키텍트는 소프트웨어 기획과 함께 게임의 필요 기능 리스트를 가지고 프로그램 모듈의 사양서를 만드는 것이다.

프로젝트의 큰 구조를 잡으며, 각 모듈의 상세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리드 프로그래머가 담당한다.

● 게임 디자이너(Game Designer)

개발 팀이 제작할 게임을 디자인하는 역할을 맡는다.

게임의 초기 개요 문서를 작성하고, 구체적인 게임 기획서로 만들어 나간다.

게임 디자이너는 자신이 디자인한 요소들의 실현 가능성을 알기 위해 항상 소프트웨어 기획과 함께 일하게 될 수밖에 없다.

일반적인 '게임 기획자'라고 부른다면, '게임 디자이너'의 이미지에 가까우며, 두 용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

소프트웨어 기획이나 리드 아키텍트가 만들어 둔 일들을 조합하여 효율적인 스케줄을 구성, 관리한다.

팀 멤버 사이의 의견을 조율하고 개발 팀과 마케팅/관리 팀 사이의 중간자 역할을 담당한다.

프로젝트 진행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일정, 자원, 작업 진행 여부 등을 관리한다.

시나리오 작가(Wirter)

게임의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작가이다.

다른 매체의 시나리오와 달리 게임의 시나리오는 비선형적 구조(상호작용)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인터렉티브 픽션(Interactive Ficti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게임 속에 등장하는 캐릭터 유형을 설정하고, 사건의 전개, 시나리오의 흐름을 이어가는 대사를 창작한다.

구성력과 독창력이 필수적이며, 사용자의 심리를 이해하고 때때로 유행이나 트렌드에 대한 관심과 지식도 필요하다.

물론, 폭넓은 문화 콘텐츠 지식도 필수적이다.

프로듀서(Producer)

영화의 프로듀서(PD)의 역할과 유사하다.

게임을 만드는 과정을 총괄하는 책임자로서,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획의 일정, 계약의 협상, 스텝의 편성, 예산 편성 및 관리, 스케줄 관리, 스텝 간의 의견 조율, 광고 및 마케팅 전략 결정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게임 제작 전반에 걸친 지식과 폭넓은 경험, 전문성, 노하우, 리더십이 필요하며, 판단력, 의사 결정력, 마케팅 능력, 비즈니스 경험, 공정 관리 능력 등이 요구된다.

이처럼 프로듀서는 다양한 현장 경험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오랜 경력을 쌓은 경력자가 담당하는 자리이다.

 


 

6. 게임 기획의 중요 요소

게임을 기획할 때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는 원칙들이 몇 가지 있다.

이 원칙들은 게임 기획에서 성공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해주므로,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다음과 같다.

● 독창성(Originality)

● 논리성(Logicality)

● 게임성(Fun)

일관성(Consistency)

● 접근성(Easy to Approach)

● 실현 가능성(Possible of Realization)


6.1) 고려 사항

성공하는 게임을 개발하기 위한 법칙, 원칙 등을 실제 게임 개발 업무에 적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다만, 게임 개발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사전에 얼마나 많은 위험 요소들을 점검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두느냐가 프로젝트의 완성을 위한 왕도라고 할 수 있다.

게임 기획을 넘어 게임을 개발하기에 앞서서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는 고려 사항들이 몇 가지 존재한다.

이 고려 사항들을 충분히 살펴보고 실무에도 적용해본다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겪게 될 다양한 위험 요소들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 충분한 시장 조사(Marketing Research)

● 확실한 수익 모델의 수립(Build the Business Model)

● 미래에 대한 예측(Demanding Forecasting)

● 아류작은 실패한다.(No Epigone)

● 커뮤니케이션과 팀 워크(Communication & Team Work)

 


 

7. 게임 기획 업무 프로세스와 그 범위

기획물을 프로젝트화 하기 전에 반드시 기획자 및 업무 관련자에 의해서 아이디어나 기획 창작물에 대한 기본적인 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기획자는 초벌 기획서(컨셉 문서)를 바탕으로 회사 경영진(투자자), 개발자, 제작자와 간단한 프레젠테이션을 거친 뒤, 본격적인 프로젝트 기획에 착수한다.

즉, 게임 기획 업무 프로세스를 3단계로 나눠본다면, '기초 안건 제시' - '기획 회의' - 구체적인 제작 공정'으로 나눠지는 것이다.

게임 기획의 순서는 취급하는 데이터에 따라 3단계로 나눠질 수 있다.

● 1단계: 사실 단계

팀 내에서 이루어지는 오리엔테이션(사전 회의)을 통해 과제가 제시된다.

제시된 과제의 포인트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관련된 정보를 철저하게 수집, 분석하여 과제 해결의 방향을 검토한다.

사실적인 데이터를 중심적으로 다루는 단계이다.

● 2단계: 발상 단계

해결이 기본 방침인 컨셉를 만들어두고 전체적인 구상을 한 뒤,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나간다.

즉, 아이디어(발상 데이터)를 말 그대로 '발상'하면서 "어떻게 과제를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나가는 것이다.

● 3단계: 실현 단계

실행을 염두에 두고 채택된 아이디어를 간추려서 기획서를 정리, 프레젠테이션을 실행하고 평가하는 단계이다.

현실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아이디어만 남아야 하며, 그 아이디어들이 기획서로써 문서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남겨진 아이디어, 즉, 문서화된 기획서는 앞으로의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며 어떤 게임이 만들어질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뼈대를 구축한다.

 


 

8. 게임 기획 문서

단계별 게임 기획의 결과물인 문서를 일반적으로 게임 기획서라고 부른다.

이 게임 기획서에도 각각의 용도와 스케일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나눠진다.

제안서(Treatment)

어떤 게임을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아웃 라인을 기술한다.

마케팅, 수익성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여 투자자에게 프로젝트를 어필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개발 목적, 개발 전략, 스토리, 게임 플레이 방식, 등장 캐릭터 등에 대한 내용이 담긴다.

● 기획서(Plan)

시나리오, 시놉시스, 게임 플레이 방식, 등장 캐릭터, 설명 보충용 일러스트, 그래픽 방식 정의, 게임 테마, 밸런싱 방법 등을 포함하는 기획서이다.

제안서가 통과된 이후,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작성되는 문서인 만큼, 게임 개발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리는 기획서이기도 하다.

제안서보다 내용이 조금 더 세부적이고 구체적이다.

● 작업 지시서(Bible)

그래픽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의 팀원들이 실제로 작업해야 하는 내용을 일정 형식에 맞춰서 기술한 기획서이다.

각 씬의 스토리보드, 플로우 차트, 밸런스 엑셀 문서, 구현해야 하는 시스템의 사양 등에 대한 내용이 담긴다.

즉, 각 파트별 개발자들이 자신이 당장 무슨 일을 해야 하는 지를 알아볼 수 있도록 작성된 문서이다.

위의 2가지 종류의 기획서보다 양도 많고 전문성을 띄고 있으며, 매우 구체적인 사항들까지도 포함한다.


8.1 앤드류 롤링스(Andrew Rollings)와 어니스트 아담스(Ernest Adams)가 제시하는 게임 기획서

위에서 살펴본 3가지 종류의 기획서와 유사하지만 더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기본 컨셉(High Concept)

2~4 페이지 분량의 매우 간단한 구성을 지니고 있다.

게임의 전제 조건, 타깃 소비자 층, 장르, 고유 판매 포인트(수익 모델 등), 포괄적인 스토리 라인 등 게임의 아웃라인을 간략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작성한다.

게임 플레이의 요약, 전체 게임의 흐름이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

투자의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개발 멤버들의 이력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 게임 구성안(Game Treatment)

10~20 페이지 분량으로 작성한다.

게임의 모든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세부 묘사는 불필요하지만, 게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 유통사, 개발자 등에게 게임의 윤곽을 보다 폭넓게 보여줄 수 있는 내용이 필요하다.

프로토타입 단계의 스크린샷, 주요 캐릭터 배경, 전체 스토리의 간략한 묘사, 게임 플레이를 이해시키기 위한 레퍼런스 또는 경쟁작과의 분석 등이 포함된다.

게임 판매 홍보를 위해 웹 사이트를 개발하고 있다는 수준으로 이해하면 편하다.

● 게임 스크립트 또는 게임 바이블(Game Script or Game Bible)

50~300페이지 정도의 방대한 분량으로 작성한다.

납득이나 이해가 목적이 아니라 순전히 만들고자 하는 게임의 결정된 디자인의 내용을 담고 있는 일종의 청사진에 가까운 문서이다.

게임의 구조, 조직과 관련된 모든 사항들의 최종 표준안을 담아야 한다.

스토리라인, 캐릭터, UI, 게임의 규칙 등 이 문서에 담기는 모든 내용들은 가급적 변하지 않아야 한다.
(최종 결정 사항들만 담아둔 문서이기 때문)

테크니컬 디자인 문서와는 성격이 다르며, 이론적이나 플레이의 규칙을 최대한 상세하게 작성한다.

 


 

9. 게임 기획서의 평가

게임 기획서를 작성하는 목적은 말 그대로 게임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즉, 게임 기획서는 개발자들을 위한 문서이기 때문에, 기획자의 머리로 그리고 있는 게임 속 세계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전달하도록 작성해야 한다.

게임 기획서 또한 일종의 '설계도'의 개념을 지니고 있으므로, 무엇보다 정확한 전달이 가장 중요한 요건이 된다.

좋은 기획서와 부족한 기획서를 구분해보면 다음 사진과 같다.

즉, 좋은 기획서란, "무슨 게임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해답이 짧고 명확하며, 누구나 알아보기 쉽게 작성되어 그 내용을 납득할 수 있는 기획서이다.

 


 


수고하셨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