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82)
Priv's 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rLMk/btrESIe7VGM/WYv5qhay6UHeDtnKp1oe10/img.png)
1. 변신의 플롯 1.1) 변신의 플롯은 신체적 변화로 인해 정서적 변화로 이어진다. 변신의 플롯은 판타지에 가까운 신체적 변화를 기반으로 하는 플롯으로, , , 등으로 판타지, 동화, SF에서 자주 등장하는 플롯이다. 변신은 보통 저주의 결과이며, 저주는 자연의 질서를 어겼거나 잘못을 저지른 결과로 나타난다. 저주의 치료는 사랑이라는 공식을 가지고 있으며 저주가 풀리는 과정 자체가 인물의 정서적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에서 야수는 주인공으로써, 저주를 받아 야수로 변한 인물이다. 여기서 주인공이 얻게 되는 저주는 자연의 질서를 어겼거나, 잘못을 저지른 대가로 얻게 된다. 주인공의 적대자, 즉 저주를 풀 수 있는 인물은 주인공의 조력자로 변화한다. 의 야수는 사랑을 알아야 저주를 풀 수 있으며, 극에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TcCr/btrER6nhw8n/fCdzfYYSkhXVcZg4BmskLK/img.png)
1. 유혹의 플롯 1.1) 복잡한 인물이 유혹에 빠진다. 유혹은 어떤 현명하지 못한 일이나 잘못된 일, 부도덕한 일을 하도록 설득을 당하거나, 꼬임에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인간의 약한 본성과 도덕성에 관한 이야기이다. 어떠한 것에 결점이 있거나 부족함을 느끼고 있는 등장인물은 유혹을 받아서 에너지가 생성되고, 행동에 옮긴다. 하지만 불안감이 공존하면서 갈등이 발생하고, 결국 유혹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된다. 인물의 필요와 충동에 관한 시험으로, 유혹의 플롯은 마음의 플롯에 해당한다. 유혹의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도박이다. 도박에 빠진 주인공이 도박 빚을 탕감하고 도박을 계속하기 위해 거대한 사채를 쓰는 유혹에 빠지게 된다. 유혹에 빠져 에너지(엄청난 돈)를 얻게 된 주인공은 도박을 계속하게 되지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hX4C/btrDeeNFQnM/xG1V7AZBDKxVrCGDlkPY31/img.png)
1. 희생자 플롯 1.1) 라이벌 플롯의 변형 희생자 플롯과 라이벌 플롯은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 희생자 플롯의 주인공은 일단 힘이 없으며, 적대자의 힘이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인공이 희생자 위치에 있으면서 적대자의 힘에 완전히 몰려있는 상태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지만, 이야기가 흘러가면서 주인공은 점점 적대자의 힘을 뛰어넘는 수준까지 성장하게 된다. 사람들은 라이벌 플롯처럼 대등한 두 인물이 대결을 펼치는 라이벌 플롯보다, 힘이 없고 약한 주인공이 강력한 적대자를 이겨내는 희생자 플롯을 더 선호한다. 이때도 주인공은 라이벌 플롯과 마찬가지로 힘은 없지만, 도덕적으로는 우위를 점하고 있어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희생자 플롯의 예시는 그림 형제의 로, 의 원형 서사이다. 의 등장인물인 신데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707x/btrDefy1Ubd/bMi0sknYF3mt2FIKHrvJhK/img.png)
1. 라이벌 플롯 1.1) 서로의 힘이 대등할수록 경쟁은 치열하다. 선과 악의 고전적인 대립, 스포츠 경기 팀의 대립까지 라이벌은 적대하는 두 세력의 간장 관계로 성립된다. 라이벌 플롯의 중요한 규칙은 "동등한 힘을 가진 두 세력이 대립"하는 것이다. 셜록 홈스와 모리아티, 타노스와 어벤저스처럼 비등한 존재가 서로 격돌할 때 관객들은 재미를 느낀다. 라이벌 플롯에서 대립되는 세력 중 도덕적으로 올바른 쪽이 주인공 자리를 차지한다. 라이벌로서의 주인공과 적대자는 동일한 힘의 균형에서 시작하여 힘의 균형을 무너뜨리며 플롯을 진행한다. 와 을 보면 어벤저스와 타노스라는 두 라이벌이 격돌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여기서 타노스와 어벤저스의 영웅들은 대등한 관계를 이루고 있지만, 타노스는 스톤을 모아가면서 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J8wo/btrDcTRfYKi/kArDHIWmOwDWxiHDOlMob0/img.png)
1. 수수께끼의 플롯 1.1) 수수께끼 수수께끼는 어떤 사물에 대해서 바로 말하지 않고 빗대어 말하여 알아맞히는 놀이이다. 수수께끼 놀이는 인간의 본능인 호기심과 문제 해결이라는 지적 유희의 일종으로, 오래된 신화나 전설 등에서 발견할 수 있다. 신화, 설화의 많은 수수께끼들이 목숨을 담보로 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것이 현대의 미스터리, 탐정 장르로 변형되었다. 수수께끼는 내기담이기 때문에 그냥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내기를 하면서 일어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수께끼에는 등가물이 존재한다. 수수께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새로운 문제가 계속 발생하며, 그것에 대한 대가가 존재한다. 과거 수수께끼의 등가물은 오이디푸스 이야기의 수수께끼처럼 죽음인 경우가 많았다. 1.2) 단서를 제공하고 문제를 풀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maVL/btrDcszElGA/zBCDblusbhTqiKbzCEDeYk/img.png)
1. 복수의 플롯 1.1) 복수는 야생의 정의다. 적대자가 가한 실제적인 또는 상상의 상처에 대한 주인공의 복수를 그리는 플롯이다. 복수는 항상 법의 지배 바깥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프란시스 베이컨은 이를 '야생의 정의'라고 표현했다. 거의 모든 복수는 폭력적이며, 복수극은 개연성을 얻기가 힘들다. 주인공이 복수를 해야 하는 상황을 꾸며야 하기 때문에 그 상황이 상당히 극단적이다. 주인공이 악당을 잔인하게 죽이기 위해서는 악당도 그만큼 잔인해야 한다. 단, 주인공의 복수는 악당의 악행 수위와 동일해야 한다. 만약 주인공이 악당이 저지른 악행보다 더 높은 수위의 복수를 저지르면 관객들은 주인공의 복수에 공감할 수 없게 된다. 복수에는 항상 대가가 따라온다. 이는 복수가 아무리 자신이 당한 일을 되돌려주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cBsP/btrDeCHxl8n/0MMyvairTXJVOkIRqcjoV0/img.png)
1. 탈출 서사 탈출 서사는 관객들에게 동일시를 일으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즉, 등장인물이 왜 그곳에서 탈출하려고 하는지에 대해 공감하고 그 탈출을 응원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탈출해야 하는 인물은 도덕적으로 선한 자, 죄가 없지만 누명을 쓴 자가 되어야 한다. 의 이정재는 기본적으로 악한 인물이지만, 다른 악한 인물들 사이에서는 그나마 선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탈출 플롯은 탈출하는 과정에 집중하는 몸의 플롯이다. 1.1) 탈출 외에는 길이 없다. 등장인물에게는 탈출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어야 한다. 주인공은 보통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갇혀 있어야 하며, 탈출을 위한 동기가 확실해야 한다. 즉, 주인공은 희생자인 것이다. 1.2) 탈출 플롯의 3막 구조 ● 주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LQgX/btrDdsSGQDV/00twiChavFNp5DnwKlgzK1/img.png)
1. 구출의 플롯 1.1) 희생자 - 프로타고니스트 - 안토고니스트의 대결 구출의 플롯은 주인공 - 대립자 - 희생자의 삼각형 구도에서 시작된다. 이 중에서 구출의 플롯은 안토고니스트에 심하게 의존한다. 이 플롯 구조는 좋은 사람 vs 나쁜 사람이라는 도덕적 논점이 매우 분명한 구조이다. 독자는 구출의 과정을 기대하지, 인물 간의 강력한 두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는 것을 원치 않는다. 구출의 서사도 몸의 플롯이므로, 인물의 변화는 중요하지 않으며 구출의 과정 자체에 집중한다. 1.2) 약자에서 강자로 성장하는 프로타고니스트 주인공은 구출의 대상인 희생자와 특별한 관계가 있는 인물이다. 주로 사랑하는 관계가 사용된다. 이 사랑에는 부성, 연인 간의 사랑, 청탁 관계, 모성 등이 있는데, 여기서 모성은 너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