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Visual Arts and Narrative (20)
Priv's 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zNsPX/btrDfBuAEIJ/mG6t9e2coNdzMLgNQU7Hn0/img.png)
1. Film의 분류 장르는 관객이 영화를 접하기 전에 이 영화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 지를 미리 언급해주는 일종의 '파라 텍스트'에 해당한다. 관객은 영화를 보기 전에 어떤 장르인지를 파악하고 앞으로 보게 될 영화의 내용이 어떤 내용이기를 기대할 수도 있고, 예상해볼 수도 있다. 필름을 구분할 때는 위와 같이 제작 방식에 대한 구분, 서사의 유무와 실제와의 연관성, 마스터 플롯 및 도상학적 일관성까지 총 3단계로 구분한다. 2. 영화 장르 2.1)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란, 음악을 뜻하는 그리스어 melos와 움직임을 뜻하는 drama의 합성어이다. 관객의 정서와 감성에 의존하는 통속적인 장르로서, 남녀의 사랑처럼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좋아하는 것,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것들을 담아둔 장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youF/btrDeemBpid/KKe6GcsDMKIug4UbfRVCw0/img.png)
1. 서사란? 서사란, 사건의 재현 혹은 사건의 연속을 의미한다. 재현에는 진술(다시 표현한다)이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제 혹은 허구적 사건들이나 그 이상의 '서술자'에 의해 '피 서술자'에게 전달되는 재진술이 서사라고 할 수 있다. 세상에 존재하는 서사들은 기본적으로 모두 허구라는 특징이 있다. 실제 사건을 기반으로 하였다고 해도 서사로 풀어낸다면, 주관적인 관점이 더해져서 허구가 될 수밖에 없다. 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영화를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기 시작한다면 '검열'이 탄생하기 때문이다. 공산주의 국가 또는 독제 국가에서 소설이나 영화 등에 대해 엄격하게 검열하고 통제하려는 시도를 했던 것을 떠올려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사는 자신이 알고 있는 실제 혹은 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5imT/btrDcUCBEcE/WIbtLL3KP6cT5j0roVZk11/img.png)
1. 봉합의 개념 인간이 만든 거의 모든 사물들은 이음새를 가지고 있다. 또한 솜씨가 좋은 장인들은 이음새를 어떻게든 숨기는 것에 집중한다. 프라모델을 만들 때도 사포질을 하고 페인트를 칠하면서 어떻게든 부품들이 가지고 있는 이음새를 최대한 숨기고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노력한다. 이음새는 만들어진 사물이 애초에 어떤 것에서 유래되었는 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요소이다. 플라스틱 텀블러에 남아있는 이음새는 이 텀블러가 애초에는 플라스틱 원재료였음을 깨닫게 해 준다. 인간에게도 '배꼽'이라는 봉합의 흔적이 있어 인간의 기원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봉합의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는 것은 물건의 완성도, 완결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술 작품들도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봉합의 흔적을 지우고, 완결성을 얻기 위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FSX/btrDcD8vz8P/v1eHBadbZ3VfKTIok4jBO0/img.png)
1. 개요 "아침 드라마는 말이 안 된다." 일상은 우연 덩어리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우연들의 연속이다. 우리는 전철을 타고 출퇴근을 할 때마다 같은 객실에서 마주하는 사람들이 순전히 자신의 의도에 따라 그 시간에, 그 전철에 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연히 출근 첫날부터 지각을 할 위기에 처한 여주인공이 급하게 횡단보도를 건너던 도중에 우연히 교통사고가 날 뻔하고, 우연히 남주인공을 만나 다투고, 우연히 남주인공과 같은 회사를 다니고 있고, 우연히 그 남주인공과 연애를 시작하는 일은 말 그대로 우연의 연속이다. 어떻게 보면 아침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 우연한 일들은 가장 현실에 가까운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서사, 즉, 이야기에서는 동기와 개연성이 중시된다. 동기와 개연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