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Visual Arts and Narrative (20)
Priv's Blog
1. 라이벌 플롯 1.1) 서로의 힘이 대등할수록 경쟁은 치열하다. 선과 악의 고전적인 대립, 스포츠 경기 팀의 대립까지 라이벌은 적대하는 두 세력의 간장 관계로 성립된다. 라이벌 플롯의 중요한 규칙은 "동등한 힘을 가진 두 세력이 대립"하는 것이다. 셜록 홈스와 모리아티, 타노스와 어벤저스처럼 비등한 존재가 서로 격돌할 때 관객들은 재미를 느낀다. 라이벌 플롯에서 대립되는 세력 중 도덕적으로 올바른 쪽이 주인공 자리를 차지한다. 라이벌로서의 주인공과 적대자는 동일한 힘의 균형에서 시작하여 힘의 균형을 무너뜨리며 플롯을 진행한다. 와 을 보면 어벤저스와 타노스라는 두 라이벌이 격돌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여기서 타노스와 어벤저스의 영웅들은 대등한 관계를 이루고 있지만, 타노스는 스톤을 모아가면서 이 ..
1. 수수께끼의 플롯 1.1) 수수께끼 수수께끼는 어떤 사물에 대해서 바로 말하지 않고 빗대어 말하여 알아맞히는 놀이이다. 수수께끼 놀이는 인간의 본능인 호기심과 문제 해결이라는 지적 유희의 일종으로, 오래된 신화나 전설 등에서 발견할 수 있다. 신화, 설화의 많은 수수께끼들이 목숨을 담보로 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것이 현대의 미스터리, 탐정 장르로 변형되었다. 수수께끼는 내기담이기 때문에 그냥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내기를 하면서 일어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수께끼에는 등가물이 존재한다. 수수께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새로운 문제가 계속 발생하며, 그것에 대한 대가가 존재한다. 과거 수수께끼의 등가물은 오이디푸스 이야기의 수수께끼처럼 죽음인 경우가 많았다. 1.2) 단서를 제공하고 문제를 풀게 ..
1. 복수의 플롯 1.1) 복수는 야생의 정의다. 적대자가 가한 실제적인 또는 상상의 상처에 대한 주인공의 복수를 그리는 플롯이다. 복수는 항상 법의 지배 바깥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프란시스 베이컨은 이를 '야생의 정의'라고 표현했다. 거의 모든 복수는 폭력적이며, 복수극은 개연성을 얻기가 힘들다. 주인공이 복수를 해야 하는 상황을 꾸며야 하기 때문에 그 상황이 상당히 극단적이다. 주인공이 악당을 잔인하게 죽이기 위해서는 악당도 그만큼 잔인해야 한다. 단, 주인공의 복수는 악당의 악행 수위와 동일해야 한다. 만약 주인공이 악당이 저지른 악행보다 더 높은 수위의 복수를 저지르면 관객들은 주인공의 복수에 공감할 수 없게 된다. 복수에는 항상 대가가 따라온다. 이는 복수가 아무리 자신이 당한 일을 되돌려주는 ..
1. 탈출 서사 탈출 서사는 관객들에게 동일시를 일으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즉, 등장인물이 왜 그곳에서 탈출하려고 하는지에 대해 공감하고 그 탈출을 응원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탈출해야 하는 인물은 도덕적으로 선한 자, 죄가 없지만 누명을 쓴 자가 되어야 한다. 의 이정재는 기본적으로 악한 인물이지만, 다른 악한 인물들 사이에서는 그나마 선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탈출 플롯은 탈출하는 과정에 집중하는 몸의 플롯이다. 1.1) 탈출 외에는 길이 없다. 등장인물에게는 탈출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어야 한다. 주인공은 보통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갇혀 있어야 하며, 탈출을 위한 동기가 확실해야 한다. 즉, 주인공은 희생자인 것이다. 1.2) 탈출 플롯의 3막 구조 ● 주인..
1. 구출의 플롯 1.1) 희생자 - 프로타고니스트 - 안토고니스트의 대결 구출의 플롯은 주인공 - 대립자 - 희생자의 삼각형 구도에서 시작된다. 이 중에서 구출의 플롯은 안토고니스트에 심하게 의존한다. 이 플롯 구조는 좋은 사람 vs 나쁜 사람이라는 도덕적 논점이 매우 분명한 구조이다. 독자는 구출의 과정을 기대하지, 인물 간의 강력한 두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는 것을 원치 않는다. 구출의 서사도 몸의 플롯이므로, 인물의 변화는 중요하지 않으며 구출의 과정 자체에 집중한다. 1.2) 약자에서 강자로 성장하는 프로타고니스트 주인공은 구출의 대상인 희생자와 특별한 관계가 있는 인물이다. 주로 사랑하는 관계가 사용된다. 이 사랑에는 부성, 연인 간의 사랑, 청탁 관계, 모성 등이 있는데, 여기서 모성은 너무나..
1. 추적의 플롯 1.1) 숨바꼭질의 드라마적 변형 추적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원초적인 흥밋거리로서, 순수하고 유쾌한 흥분이다. 추적의 플롯은 '선'과 '악'이 확실해야 하며, 이는 기본적으로 재미있는 플롯을 완성한다. 쫓는 사람(추적자)과 쫓기는 사람(도망자)이 존재하는 행동의 플롯(몸의 플롯)이므로, 모험의 플롯과 마찬가지로 추적에 관계하는 사람들보다는 추적 과정 그 자체가 더 중요하다. 추적의 플롯은 구조적으로 단순한 플롯 중에 하나이다. 다른 플롯들보다 속임수의 샷(뒤엉킴, 전환, 반전 등)이 많이 사용되는 플롯이기도 하다. 추적자와 도망자 중 주인공의 역할이 고정되지는 않으며, 추적자였던 주인공이 이후에 도망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 단, 여기서 희생자는 등장하지 않는다. 추적의 플롯 3막 구조..
1. 모험의 플롯 추구의 플롯은 인물의 플롯(마음의 플롯)이지만, 모험의 플롯은 행동의 플롯(몸의 플롯)이다. 즉, 모험의 플롯은 여행 자체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모험을 다루는 작품의 관객들은 교훈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모험 자체의 박진감을 기대하고 작품을 본다. 모험 자체에 집중하는 만큼, 크로노토프적 공간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주인공은 모험을 해처 나갈 자질이 있어야 하며, 그 모험을 시작하게 만드는 동기를 흥미진진하게 구성해야 이야기가 시작될 수 있다. 모험의 플롯 3막 구조는 다음과 같다. ● 등장인물이 흥미로운 상황에 들게 한다. (주변 상황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기를 보여줌) ● 1막에서 구성된 상황이나 동기를 기반으로 실제 여행이 시작된다. (걱정, 공포, 환상, 발견의 요소가 포..
1. 좋은 플롯의 8가지 원칙 1.1) 긴장이 없으면 플롯은 없다. ● 남자가 여자를 만났다. - 남자가 여자에게 결혼하자고 말한다. - 여자가 좋다고 대답한다. - 끝 ● 남자가 여자를 만났다. - 남자가 여자에게 결혼하자고 말한다. - 여자가 안된다고 말한다. - 남자가 이유를 물으며 화를 낸다. - 여자가 "네가 술꾼이라서."라고 대답한다. - (생략) 긴장은 거절에서 시작되며, 갈등이 없는 이야기는 그저 내면의 고백일 뿐이다. 1.2) 대립하는 세력으로 긴장을 창조하라. 남자, 여자를 만나다에서 긴장을 발생시킨 여성: 대립하는 외부 세력 남자, 여자를 만나다에서 술을 끊기 위해 노력하는 남성의 내적 이유(술을 먹는 이유): 대립하는 내부 세력 1.3) 대립하는 세력을 키워 긴장을 고조시켜라. 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