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v's Blog
Programming Basics: Unit 1 - Player Control) Lesson 1.1 - Start your 3D Engines 본문
Programming Basics: Unit 1 - Player Control) Lesson 1.1 - Start your 3D Engines
Priv 2021. 1. 28. 22:27출처
1. 서언
(영상: 링크 참조)
2. course 폴더 및 새 프로젝트 생성하기
여러분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앞으로 제작할 모든 코스 프로젝트들을 보관하기 위해 새로운 폴더를 하나 만들고, 해당 폴더 안에 Prototype 1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유니티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입니다.
(영상: 링크 참조)
-
여러분의 바탕화면(또는 여러분이 기억할 수 있는 곳)에서 마우스 우클릭 > 새폴더 생성, 폴더의 이름을 "Create with Code"로 설정합니다.
-
Unity Hub를 실행하시고, New를 클릭하세요.
-
프로젝트 이름을 "Prototype 1"으로 설정하시고, 올바른 Unity 버전을 선택해주세요. 저장 위치는 새로 만든 "Create with Code" 폴더로 설정해주세요. 템플릿(template)은 3D로 선택해주세요.
-
Create Project를 클릭하시고 잠시 기다리시면 Unity 에디터가 곧 실행됩니다.
2. course 폴더 및 새 프로젝트 생성하기
이제 빈 프로젝트가 열렸으므로, Prototype 1에 필요한 에셋을 추가하고 Scene을 열어야 합니다.
주의: 해당 코스의 에셋들은 Unity 버전 2018.4에서만 호환됩니다. 만약 여러분이 더 높은 버전의 Unity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므로 진행하기에 앞서 여러분의 Unity 버전을 해당 버전에 맞춰주십시오.
(영상: 링크 참조)
-
해당 튜토리얼 페이지(최상단 링크 참조)의 최상단에 있는 Tutorial Materials 탭으로 가셔서 두 링크 중 하나를 클릭, Prototype 1 스타터 파일에 접근해 파일을 다운로드하셔서 Unity에 import 해주세요.
-
Project 창에서 Assets > Scenes 으로 이동하셔서 Prototype 1 scene을 더블-클릭해 열어주세요.
-
Sample Scene은 저장하지 마시고 삭제해주세요.
-
마우스 우클릭 + 드래그로 도로 시작 지점을 둘러보세요.
4. scene에 차량 추가하기
운전 시뮬레이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scene에 여러분만의 차량을 추가해야 합니다.
(영상: 링크 참조)
-
Project 창에서 Assests > Course Library > Vehicles로 이동하셔서 차량을 Hierarchy 창으로 드래그해주세요.
-
마우스 우클릭 유지 + WASD 키를 이용해 차량을 향해 날아가셔서 주변을 둘러보세요.
-
Scene view에서 F 키를 눌러 Scene view의 중심을 차량 오브젝트에 맞추시고, 마우스 휠 스크롤을 이용해 줌 인/줌 아웃, 마우스 휠 버튼을 누른 상태로 마우스를 움직여 시야를 돌려보세요.
-
F키를 눌러 물체를 중심에 놓은 뒤, alt 키와 마우스 좌측 버튼을 누른 상태로 드래그하시면 선택한 물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습니다.
-
만약 작업 도중 문제가 발생했다면, Ctrl/Cmd + Z 키를 이용해 작업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5. 장애물을 추가하고 위치 변경하기
이제 여러분의 게임에 필요한 것은 장애물입니다! 장애물 하나를 고르고 차량 앞에 놓이도록 위치를 수정해야 합니다.
(영상: 링크 참조)
-
Corse Library > Obstacles로 가셔서 장애물을 드래그하여 scene view 안에 바로 넣어주세요.
-
장애물 오브젝트의 Inspector 창에 있는 Transform 컴포넌트로 가신 뒤,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아이콘 > Reset Position을 클릭해주세요.
-
Inspector 창에서, XYZ 위치 값(Position)을 0, 0, 25로 바꿔주세요.
-
hierarchy 창에서, 마우스 우클릭 > Rename 으로 여러분의 두 오브젝트 이름을 "Vehicle"과 "Obstacle"로 바꿔주세요.
6. 카메라를 찾고 게임을 실행해보세요.
차량과 장애물의 세팅을 마쳤습니다. 이제 게임을 실행해보고 카메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상: 링크 참조)
-
hierarchy 창에서 Camera를 선택하시고, F 키를 눌러 오브젝트를 시야 중심에 맞춰주세요.
-
Play 버튼을 눌러 게임을 실행하시고, 다시 Play 버튼을 눌러 게임을 멈춰보세요.
7. 카메라를 차량 뒤로 이동시키기
플레이어가 여러분의 게임을 제대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의 각도와 위치를 차량 뒤쪽으로 적절히 배치해야 합니다.
(영상: 링크 참조)
-
Move와 Rotate 도구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차량 뒤쪽으로 이동시키고 차량을 내려다볼 수 있도록 맞춰주세요.
-
Ctrl/Cmd 키를 누른 상태로 카메라를 한 단계씩 움직여보세요.
8. 인터페이스 레이아웃 커스터마이즈 하기
마지막으로, 여러분의 프로젝트 편집에 적합하도록 Unity Editor 레이아웃을 커스터마이즈해야 합니다.
(영상: 링크 참조)
-
우측 상단 모서리에서 레이아웃을 "Default"에서 "Tall"로 바꿔주세요.
-
Game view를 Scene view 아래로 움직여주세요.
-
Project 창에서 우측에 있는 작은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시고 "One-column layout"을 선택해주세요.
-
레이아웃 드롭-다운 메뉴에서, 새 레이아웃을 저장하시고 레이아웃 이름을 "My Layout"으로 설정해주세요.
9. 내용 복습
- 새로 배운 기능들
-
에셋을 추가해 프로젝트 세팅하기
-
차량을 도로 시작 지점에 배치하기
-
장애물을 차량 앞에 배치하기
-
카메라를 차량 뒤에 배치하기
- 새로 배운 개념과 기술들
-
새 프로젝트 생성하기
-
에셋 추가하기
-
scene에 오브젝트 추가하기
-
Game view와 Scene view
-
Project, Hierarchy, Inspector 창
-
3D 공간 탐색하기
-
Move 툴과 Rotate 툴
-
레이아웃 커스터마이즈 하기
- 다음 시간에 학습할 내용
-
다음 시간에는 자동차를 움직이고 scene 내의 다른 오브젝트들과 충돌하도록 만들기 위해 여러분의 첫 번째 C# 코드를 작성함으로써 게임을 보다 상호작용적으로 만들어보겠습니다.